카테고리 없음

밟고’ 음운변동 순서 궁금해요

윤숙365 2025. 3. 24. 12:15
반응형

밟고’ 음운변동 순서 궁금해요

 

  • ‘밟고’에서 자음군 단순화와 된소리되기 중 어떤 음운 변동이 먼저 일어날까요? 질문자님처럼 ‘밟꼬 → 밥꼬’로 생각하면 안 되는 이유를 국어 음운론 개념과 실제 음성 흐름을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.

 

밟고’ 음운변동 순서
밟고’ 음운변동 순서

✅ 1. 서론 – ‘밟고’에서 어떤 음운 변동이 일어날까요?

 

국어 음운 변동 문제 중 복잡한 자음군(‘밟’)과 된소리되기(‘고’ → ‘꼬’)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,
순서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틀리기 쉽습니다.

“밟고”는 [밥꼬]로 발음되죠.
그렇다면, ‘밟꼬’에서 된소리되기가 먼저 일어나고, 그다음 자음군 단순화(밟 → 밥)가 되는 걸까요?
아니면 정답지처럼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나고, 그다음에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 걸까요?

질문자님은 “된소리되기 → 자음군 단순화”로 이해하셨지만,
표준 발음 규정에 따르면 정답은 “자음군 단순화 → 된소리되기”의 순서입니다.

이제 그 이유를 정확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
✅ 2. 본론 – 음운 변동 개념 정리

 


📌 자음군 단순화란?

 

자음이 두 개 이상 겹쳐서 발음하기 어려울 때,
하나의 자음을 생략하여 쉽게 만드는 현상입니다.

  • 예: 젊다 → 점따 (ㅁ + ㄷ → ㅁ만 남고 ㅈ이 된소리로 변화)
  • 밟다 → 밥따 (자음군 ㄽ, ㄼ 등에서 ㄹ 탈락)

📌 밟다/밟고/밟지 같은 단어들은 어간에 복잡한 자음군이 있죠.
→ 이 자음군이 먼저 단순화되어야 이후 발음이 가능해집니다.


📌 된소리되기란?

 

  • 예사소리 →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
  • 보통 **받침 뒤에 예사소리(ㄱ, ㄷ, ㅂ, ㅈ)**가 올 때 일어남
  • 밥고 → 밥꼬 / 꽃이 → 꼬치

⚠️ 된소리되기는 받침이 살아있을 때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.
만약 받침이 먼저 사라지면 된소리되기 자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


✅ 3. ‘밟고’의 음운 변동 순서 분석

 

자, 이제 핵심으로 돌아가 봅시다.

 

형태소밟 / 고

 

구조 어간(밟) + 어미/조사(고)
발음 [밥꼬]

📌 여기서 일어나는 두 가지 음운 변동:

  1. 자음군 단순화 (ㄼ → ㅂ)
  2. 된소리되기 (고 → 꼬)

✅ 정답지 기준 순서

 

👉 ① 자음군 단순화:
밟고 → 밥고
(복잡한 ㄼ이 단순화되어 ㅂ만 남습니다)

👉 ② 된소리되기:
밥고 → 밥꼬
(받침 ㅂ 뒤에 ㄱ이 있으므로 ㄱ → ㄲ)


❌ 질문자님이 생각하신 순서

 

① 된소리되기: 밟고 → 밟꼬
② 자음군 단순화: 밟꼬 → 밥꼬

겉보기엔 결과가 같아 보이지만,
실제로는 ❗**발음 불가능한 ‘밟꼬’**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순서는 음운론적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.

 

📌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밟의 자음군(ㄼ)은 실제 발음상 두 개의 받침이 다 유지되지 않습니다.
  • 밟꼬라고 발음할 수 없으며, 실제 입에서 나오는 소리는 자음군이 먼저 정리된 후에 된소리가 되는 구조입니다.


✅ 4. 결론 –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입니다

 

정리해드리자면요,

  1. ‘밟고’는 [밥꼬]로 발음되며, 이는 두 가지 음운 변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난 결과입니다.
  2. 먼저 자음군 단순화(ㄼ → ㅂ)로 밟고 → 밥고,
    그 후 된소리되기(고 → 꼬)로 밥꼬가 됩니다.
  3. 질문자님처럼 ‘된소리되기 → 자음군 단순화’로 해석하면
    → ‘밟꼬’라는 불가능한 중간 형태를 상정하게 되므로 틀린 분석이 되겠습니다.
  4. 따라서 정답지는 정확한 음운 변동 순서를 따른 것으로,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나는 게 맞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.

📌 출처

 

  • 국립국어원 [표준 발음법 제4항]
  • 『고등학교 국어』 교과서 음운 변동 단원
  •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음운론 강의 자료
  • 『표준 발음 사전』 (국립국어원)
반응형